리눅스나 맥에서 vi 또는 vim을 이용하여 코딩을 하다보면,
오픈 소스를 이용하기 위해 복사 붙여넣기를 할 때, 코드가 제멋대로 들여쓰기가 되어 줄이 엉망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.
예를 들어,퀵소트를 수행하는 함수를 복사 붙여넣기 했을 때, main()처럼 동등한 위치에 있어야 할 코드가 들여쓰기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.
이럴 때, ESC를 눌러 표준 모드로 전환한 후,
"gg=G"
gg=G 를 순서대로 입력하면,
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렬된 모습을 볼 수 있다.
하단의 46 Lines Indented 의 문구를 통해 총 46줄의 코드가 정렬된 것을 알 수 있다.
만일 부분적으로만 자동 정렬을 하고 싶다면,
표준 모드에서 V키를 통해 원하는 부분만 블럭 처리를 한 후,\=
키를 눌러 자동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.
이렇게 블럭 처리를 한 후, = 키를 누르면,
위와 같이, 7줄만 자동 정렬이 된 것을 볼 수 있다.
728x90
반응형
'IT > Coding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iki] Ubuntu 환경의 Eclipse CDT에서 thread 사용시 undefined references with pthread create 가 뜨는 경우 해결 방법 (0) | 2020.02.03 |
---|---|
[Wiki] Eclipse CDT에서 XXX could not be resolved 에러 해결 방법 (0) | 2020.02.03 |
[GCC/G++] vi 또는 vim에서 원하는 줄번호로 한번에 이동하는 방법 (0) | 2016.10.20 |
[GCC/G++] vi 또는 vim에서 전체 코드 자동 정렬하는 단축키 (5) | 2016.09.05 |